쉘스크립트 5

GCP 전체 Cloud storage 사용량 조회

목표 Cloud Storage는 GCP에서 오브젝트 스토리지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성상 Dev, Stg, Prd 등 여러 환경에 걸쳐 여러 프로젝트에 분산되어 생성되며, Cloud Run과 같은 PaaS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버킷이 생성되기도 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위치에 버킷이 존재하다 보니, 전체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webconsole의 GUI를 통해 스토리지 리스트를 조회하는 방법과, 쉘 스크립트를 이용해 각 버킷의 용량 및 메타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방법 1: GUI로 전체 버킷 리스트 확인GCP 콘솔 접속 → Cloud Asset Inventory 메뉴로 이동 조직 선택 후→ storage.Bucket 으로..

Cloud/GCP 2025.04.22

[GCP] VM기준으로 방화벽 내용을 조회 하는 스크립트

GCP는 네트워크 태그 기반으로 방화벽을 제공합니다. 태그를 조회하여 적용된 것들을 GUI상에서 볼 수는 있지만, VM을 기반으로 연결된 방화벽 정책을 한번에 보여주는 GCP 기본 기능은 없습니다. AWS는 VM을 선택시 해당 VM에 적용된 시큐리티 그룹을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신규 구축이 아닌 기존 운영하는 곳에서 정보 수집시 방화벽이 VM별로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 한번에 조회할 필요가 있어 스크립트를 통해 하는 방안을 작성하였습니다. 2가지 방안으로 작성하였습니다.프로젝트 별 수집하는 방안조직에서 프로젝트별로 수집하는 방안 프로젝트 기반이며, 입력 후 해당 프로젝트에 있는 VM의 리스트 조회 → 해당 리스트의 있는 vm에 네트워크 태그를 조회하여, 인그레스, 이그레스별로 해당 태그 정책을 정리합..

Cloud/GCP 2025.04.19

[GCP/OS] instance에서 gcp rsync를 이용하여 file sync 진행

쓰기도 애매하지만, VM (linux) 에서 GCS로 자동으로 로그 파일을 업로드하고, VM에 있는 기존 파일은 제거하는 요구사항이 생겨서 진행 목적 : Instance 에서 지속적으로 파일이 대량 생성되고 있어, 이것을 GCS로 저장하는 방안 중 하나 조건은 각 instance를 구분하기 위해 GCS상에 호스트명별로 디렉토리가 생성되며, GCS에 업로드 되고 난 뒤 최신의 파일을 제외하고서는 기존 instance내 파일은 삭제처리 GCS로 보내는거라 고민을 했는데, 다행인지 gcloud 명령어에 storage rsync가 있어 진행했다. 아.. 물론 엔딩은 rsync가 아닌 데몬으로 보내야한다고 해서 결국 Fluent Bit로 전환 - GCS에 호스트명대로 저장하고, gcp rsync로 저장한 뒤 10..

Cloud/GCP 2024.02.27

시스템 정보 수집 스크립트

- 만든계기 :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고, 수집하기 위해 생성 단일 시스템 확인용이며, 다수 원격시스템은 ssh로 해서 차 후 또 수정예정 - 내용 : 1. 계정정보 2. 디스크 사용량 확인 3. CPU사용량 4. 메모리 사용량 5. 볼륨그룹 정보 6. 시스템 Gateway확인 7. hosts 정보 확인 8. crontab 정보 확인 9. 프로세스 검색 10. 시스템 가상화 여부 11. 전체 결과 값 파일로 저장 Redhat6기준으로 테스트 했고, ubuntu나 다른버전에서는 다 동작 안될 수도 있다. ㅠ ubuntu같은 경우 sudo를 추가 및 기타 명령어 (virt-what)설치가 필요 결국 명령어 옵션이 좀 다르던가 하는것이니 적절히 수정해서 쓰면 문제없음 - shell-script내용 #!/bin/..